본문 바로가기
과학적 사실적시

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, 재배

by 직사광선 2025. 9. 6.
반응형

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, 재배 방법 - 초보도 성공하는 가을배추 완전 가이드

김장철의 성패는 배추 품질에서 갈립니다. 뿌리혹병 없는 건강한 밭, 일정한 수분과 적정 온도, 품종-모종-시비-방제까지 전 과정을 표준화하면 초보도 실패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습니다.

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
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

이 글은 가정·소규모 텃밭부터 10a(300평) 수준의 노지 재배까지 폭넓게 적용할 수 있도록, 지역별 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와 단계별 재배 방법, 토양관리와 거름주기 로드맵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.

아래 체크리스트부터 간단히 훑고, 바로 실전에 적용해 보세요.

  • 목표 생육 기간: 정식 후 55-75일(조생 55-65일, 중만생 65-80일)
  • 적온: 생육 15-20℃, 결구 10-18℃, 28℃ 이상 고온 지속 시 생육저하·추대 위험
  • 토양 pH: 6.8-7.2(약알칼리) - 뿌리혹병 억제에 유리
  • 재식거리: 대품 40×50-60 cm, 중소품 35×45-50 cm
  • 수분관리: 표토 건조 금지 - 초기 활착 10일은 특히 균일 관수
  • 시비 원칙: 토양검정 우선 - 기비 60-70%, 추비 30-40% 분시
  • 방제 원칙: 윤작 3년, 잔재 제거, 초기 나방류 예찰-Bt 생물제 중심의 IPM

김장배추 모종 심는 시기

지역·기상대 기준 캘린더

아래 일정은 평년 기준입니다. 해마다 7-10일 변동이 있으니, 정식 예정 주간의 최저기온 12-15℃, 최고기온 24℃ 이하 여부를 함께 보정하세요.

  • 중부 평야지대(수도권·충청 북부)
    • 파종: 8월 10-25일
    • 정식: 9월 1-15일
    • 수확: 10월 20일-11월 초
    • 팁: 8월 하순 고온기 파종은 발아실-차광막 활용, 본엽 4-5매·포트 뿌리 충실 시 정식
  • 중부 남부·충청 남부·전북 북부
    • 파종: 8월 15-30일
    • 정식: 9월 5-20일
    • 수확: 10월 말-11월 중순
    • 팁: 조생-중생 혼식으로 수확 분산, 태풍 시기 대비 배수 홈 정비
  • 남부·전남 내륙·대구권
    • 파종: 8월 20일-9월 5일
    • 정식: 9월 10-25일
    • 수확: 11월 중-하순
    • 팁: 초기 야간 온도 높음 - 차광망 30%와 멀칭으로 토양온도 과상승 억제
  • 남해안·제주
    • 파종: 8월 25일-9월 10일
    • 정식: 9월 15일-9월 말
    • 수확: 11월 하순-12월 초
    • 팁: 염풍·염해 대비 바람막이, 바닷바람 직격지면 규산·칼슘 보강
  • 산간·고랭지(600 m 이상)
    • 파종: 8월 상순 이전 권장
    • 정식: 8월 중순 전후
    • 수확: 10월 상-중순
    • 팁: 이슬·안개 잦아 노균병 경계 - 통풍 확보, 아침 관수 지양

모종 나이와 품질 기준

  • 발아 25-35일, 본엽 4-6매, 초장 10-15 cm, 뿌리 포트볼 가득, 웃자람·묘상 과습 흔적 없음
  • 잎색은 선명한 녹색, 잎 병반·해충 상처 없음
  • 정식 5-7일 전부터 낮시간 노지 순화(하루 2-3시간→4-6시간 점증)

김장배추 재배 방법

생물 분류

  • 계: 식물계 Plantae
  • 문: 속씨식물 Angiosperms
  • 강: 쌍떡잎식물 Eudicots
  • 목: 십자화목 Brassicales
  • 과: 배추과 Brassicaceae
  • 속: 배추속 Brassica
  • 종: 배추 - Brassica rapa
  • 아종: 결구배추 - B. rapa subsp. pekinensis

품종 선택

  • 조생종: 생육기간 짧아 한파 전 수확 안전 - 다만 저장성·무게는 중만생보다 약간 낮을 수 있음
  • 중생·중만생: 결구 단단, 저장성 우수 - 중부지 표준
  • 병저항성: 뿌리혹병(Clubroot), 검은썩음병(Black rot), 바이러스 복합 저항 라인 권장
  • 씨앗보다는 전문 농가 모종 구매 시 균일성·초기 활착 유리

토양 준비와 pH 교정

  • 목표 pH 6.8-7.2 - 뿌리혹병 억제
  • 석회는 정식 3-4주 전 살포·혼화(가정 텃밭 기준 100-200 g/㎡ 수준, 토양검정 우선)
  • 밑거름과 함께 완숙퇴비 혼입 시 EC 과다 주의 - 염류장해 예방을 위해 퇴비는 1.5-3.0 kg/㎡ 범위 내에서 토양 상태에 맞춰 사용
  • 배수: 두둑 높이 15-20 cm, 골 너비 30-40 cm - 집중호우 시 물 빠짐 경로 확보
  • 멀칭: 검정 비닐 멀칭으로 지온 안정·잡초 억제·토양 수분 유지

정식 요령

  • 재식거리
    • 대품 김장배추: 40×60 cm(약 4.1주/㎡)
    • 중형: 40×50 cm(5주/㎡), 소형: 35×45 cm(6.3주/㎡)
  • 포트볼 흙이 완전히 젖어있지 않다면 정식 2-3시간 전 관수
  • 모종은 너무 깊지도 얕지도 않게 - 본엽 하단이 흙에 닿지 않도록
  • 정식 직후 활착물 주기: 주당 1-1.5 L, 이후 2-3일 간격으로 표토 마름 전 보충

관수 전략

  • 활착기(정식 후 7-10일): 매일 혹은 격일, 표토 건조 금지
  • 생육기: 주 2회 이상, 1회 15-25 mm 등량 관수 - 잎 젖는 야간관수 지양
  • 결구기: 수분 스트레스 금지 - 불균일하면 속벌어짐, 석화, 기형 결구 발생
  • 강우 후: 토양 통기 위해 얕은 흙긁기 또는 건조-관수 사이클로 뿌리 호흡 개선

잡초·멀칭·토양 통기

  • 멀칭 필수 - 잡초 씨앗 발아 억제, 토양 수분 유지
  • 무멀칭 구간은 초기에 속파기 전까지 집중 제초
  • 과습 구간은 멀칭에 핀홀을 추가해 통기 개선

병해충 종합관리(IPM)

  • 윤작: 십자화과(무·유채·겨자 등) 3년간 재배 금지
  • 잔재 제거: 수확 후 잔재 즉시 제거·퇴비화 전 고온발효
  • 해충
    • 배추좀나방·파밤나방: 유충 1-2령 시기 Bacillus thuringiensis(Bt) 제제 살포, 주수·교호살포
    • 진딧물: 초기 황색 끈끈이트랩, 천적 보전, 필요 시 칼륨비누·유기자재 활용
    • 달팽이·깡충거미류: 석회고토·톱밥 띠, 포획트랩
  • 병해
    • 뿌리혹병: pH 상향, 배수 개선, 저항성 품종, 오염 구역 작업도구 소독
    • 노균병: 통풍 확보, 이슬 잦은 지역 새벽 관수 금지, 필요 시 구리계 유기자재
    • 검은썩음병: 상처관리, 도구·작업자 손위생, 비바람 예보 시 방제 전개

결구 품질을 높이는 운영 팁

  • 외엽 20-25매 형성기부터 과도한 질소 투입 금지 - 속벌어짐 방지
  • 칼슘·붕소 결핍 예방
    • 칼슘: 석회·칼슘제 엽면살포(저농도)로 물렁증 예방
    • 붕소: 토양검정 후 미량원소 보충 - 과다 시 독성 주의
  • 태풍·강풍 예보 시
    • 두둑 가장자리 흙돋기, 지주망으로 군락 지지, 멀칭 재고정

김장배추 거름주기

기본 원칙

  • 토양검정 결과 최우선 - 기비·추비 비율과 총량은 검정값으로 조정
  • 분시 원칙 - 기비 60-70%, 추비 30-40%를 2-3회 나눠 시용
  • 과다 질소 금지 - 후기 연약생장과 병 발생 유발
  • 균형시비 - 질소(N)·인산(P)·가리(K) 외 칼슘(Ca)·마그네슘(Mg)·황(S)·붕소(B) 보정

가정 텃밭 권장 예시(토양검정 미실시 시 ‘안전 범위’ 예시)

  • 완숙퇴비: 정식 3-4주 전 1.5-3.0 kg/㎡ 혼입
  • 석회(탄산칼슘): pH 6.0 이하일 때 100-200 g/㎡, 정식 3-4주 전 살포
  • 복합비료 N-P-K(균형형 10-10-10 가정)
    • 기비: 40-60 g/㎡(정식 7일 전 혼입)
    • 추비1(정식 15-20일 후, rosette 초기): 15-20 g/㎡ 표면 시비 후 관수
    • 추비2(결구 초기, 정식 35-40일 후): 10-15 g/㎡
  • 칼슘 보강: 결구기 10-14일 간격 저농도 엽면살포 1-2회
  • 붕소 보강: 소량(제품 지시 농도 준수), 과다 시 생장점 피해 주의

주의: 상기 수치는 소규모 텃밭의 안전범위 예시입니다. 하우스·노지 상업재배는 토양검정값에 따라 N·P2O5·K2O를 개별 산출하세요. EC가 높은 밭은 퇴비량을 줄이고, 관수-배수 사이클로 염류를 씻어내는 것이 우선입니다.

10a(300평) 규모 운용 개요(개념도)

  • 기비: 권장량의 60-70%를 두둑 조성 시 혼입
  • 추비1: 본엽 10매 전후(정식 18-25일 후), 두둑 측면 줄뿌림 - 덮흙·관수
  • 추비2: 결구 시작(정식 35-45일 후), 양 줄뿌림 - 과다 N 금지
  • 유기재배 시: 퇴비+유박 위주 - 질소 유효화 속도 느리므로 파종-정식 시점을 당겨 질소 공급 타이밍 일치

자주 묻는 실전 Q&A

Q1. 모종이 비쩍 마르고 활착이 늦어요.

  • 정식 전 노지 순화 부족, 과습·과건조 반복, 뿌리손상 가능성.
  • 대책: 정식 1주 전 점증 순화, 정식 당일 오전·해지기 전 작업, 활착물 주당 1-1.5 L, 멀칭으로 수분 유지.

Q2. 외엽은 무성한데 속이 안 뭉칩니다.

  • 후기 질소 과다, 수분 불균형, 고온 잔존.
  • 대책: 추비 질소 감량, 일정 관수, 결구기 차광 20-30% 임시 설치.

Q3. 뿌리혹이 발생했어요.

  • 낮은 pH·배수불량·오염 토양.
  • 대책: pH 6.8-7.2로 교정, 배수개선, 저항성 품종, 병든 잔재 반출·소각 또는 고온퇴비화, 작업도구 소독.

Q4. 비 많이 온 뒤 잎이 얼룩지며 시듭니다.

  • 노균병·세균성 병 의심.
  • 대책: 통풍·배수, 잎 젖는 야간관수 금지, 비 예보 전 예방적 방제, 오염잎 제거.

수확·저장·가공

수확 판단

  • 결구부 단단함, 손으로 눌렀을 때 탄성 있으나 쉽게 찢어지지 않음
  • 외엽 1-2매 보호층 유지하여 수확 - 수송 중 상처·병원균 침입 줄이기

저장

  • 예냉: 그늘에서 3-4시간 열 발산
  • 저장 온습도: 0-2℃, 상대습도 90-95% - 가정은 김치냉장고·저장용 비닐라이너 활용
  • 외엽 1-2매 상태 유지해 탈수 방지, 주기적 부패엽 제거

김장 준비

  • 과도한 세척·절임 전 장시간 방치 금지
  • 속이 너무 꽉 찬 과대품은 절임 시 염 투과 불균일 - 절임 시간 조절 또는 절단 후 절임

재배 타임라인 요약(중부 평야 기준 예시)

  • 8월 15-25일: 파종, 차광 30%, 발아 2-3일
  • 9월 1-10일: 정식, 기비 완료, 멀칭, 활착물
  • 9월 20일: 추비1, 예찰 강화(Bt 살포 시작)
  • 10월 5일: 추비2(결구기), 칼슘 엽면 1차
  • 10월 20일-11월 5일: 수확 시작, 예냉-저장

결론

김장배추는 "타이밍-토양-pH-수분-균형시비-초기방제" 여섯 축만 지키면 성공 확률이 급증합니다. 특히 정식 시기 보정pH 6.8-7.2 유지, 균일 관수, 추비의 분시는 초보와 숙련의 결과를 가르는 핵심입니다. 올해는 조생과 중생을 절반씩 혼식해 수확 리스크를 분산하고, 잔재 정리-윤작-예찰 루틴으로 내년 병해도 미리 줄여 보세요. 첫 단추를 잘 끼우면, 김장통엔 단단하고 달큰한 배추가 가득 차게 됩니다.


반응형